본문 바로가기
생활 TIP/실업급여

실업급여 지급액과 수급일수 계산하기

by 나노블록 2023. 1. 20.

실업급여 지급액
실업급여 얼마
실업급여 수급일수

 

실업급여 신청자의

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

얼마를, 얼마동안 받을 수 있는지? 

일 것이다.

 

개인마다

받을 수 있는 금액과

받는 기간이 다르므로

 

본인의 실업급여 

수급기간과 금액을

확인해보자

 


지급액

본인의 지급액을 

계산하는 방법은

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(1일)

x

60%

x

소정급여일수

인데

몇 가지 헷갈리는 것만 짚어보자.

 

우선 평균임금 1일은

8시간으로 계산한다.

 

즉 2023년 기준 최저임금으로 

계산했을때

9,620원 x 8시간

1일이다.

 

상한액이 있다.

 

1일(8시간) 임금이

66,000원

넘지 못한다.

 

하한액도 있다.

 

1일(8시간) 임금이

최저임금의 80%

보다 낮을 수 없다.

 

즉, 2023년 기준으로

9,620원 x 8시간 x 80%

61,568원

보다 낮을 수 없다.

 

8시간 보다

적게 근무하는 사람은

1일을

시급 x 근무시간으로 계산하면 된다.

 

예를 들어

최저시급에

6시간을

근무한다고 가정하면

9,620원 x 6시간이

1일이다.

 

주 5일 보다

적게 근무하는 사람은

어떻게 계산할까?

 

가장 간편한 방법은

월 임금을 한달로 나누면 된다.

 

???

 

같이 해보자.

 

하루 8시간

주 4일을 일해서

월급 1,800,000원을

받았다고 해보자

 

그리고 이번 달은

30일이라고 하면

 

이번 달의

평균임금은

60,000원이다.

 

그리고

위의 상한액, 하한액은

일 8시간, 주 5일

총 40시간으로 계산했으므로

 

이 경우

32시간으로 계산하면 된다.

(하한액: 61,568원 x 32시간/40시간)

 


소정급여일수

소정급여일수

즉 얼마 동안 받을 수 있는지는

어떻게 계산할까?

 

계산할 필요가 없다.

이미 다 나와 있기 때문이다.

본인이 해당하는 구간을 

찾아보자.

 

 

 

연령은

퇴사 당시 만 나이로 계산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